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울의 봄] 제목의 의미, 원인, 모티브

by 다영쓰 2024. 1. 30.
728x90
반응형

제목의 의미, 역사적 배경

서울의 봄 대한민국에서 수많은 민주화 운동이 일어난 1979년 10월 26일 ~ 1980년 5월 17일 사이를 일컫는 말입니다.

이는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의 봄에 비유한 것입니다.

이 기간 동안 한국 사람들은 더 많은 민주주의를 옹호했습니다. 이는 민주화에 대한 열망으로 보입니다.

1980년대 초, 군사반란으로 대통령이 된 전두환이 정권을 잡게 되며, 민주주의를 갈망하는 젊은 대학생들을 포함하여 대규모 집회와 시위가 벌어졌습니다. 학생과 노동자를 포함한 사람들은 목소리를 내고 그들의 권리가 존중될 것을 요구했습니다. 그들은 공정한 선거를 통해 지도자가 선출되길 바랐습니다.

서울의 봄은  5월 17일 단행된 조치에 항거한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이 229명의 사망자·실종자와 3,000여 명의 부상자를 남긴 채 무력 진압되면서 종결됐습니다.  

 

 

원인 

  1. 서울의 봄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민주주의 체제의 부재였습니다. 정부는 국민들이 공정하고 공개적인 선거를 통해 지도자를 선출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갑작스러운 전 정권의 지도자였던 박정희의 타살로 인해 공석인 대통령 자리를 최규하가 잡게 됩니다. 그도 얼마 가지 않아, 신군부가 다시 정권을 잡게 되면서 군사독재체제가 또다시 시작됩니다.
  2. 사람들은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자유가 제한되어 있다고 느꼈습니다. 정권과 반대되는 의견을 표출하게 되면 잡혀가서 고문을 당하거나 사라졌습니다. 그들은 보복이나 처벌에 대한 두려움 없이 자유롭게 말할 수 있기를 원했습니다.

 1980년대의 상황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해 왔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이후로 한국은 민주주의와 인권 측면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서울의 봄과 같은 역사적 사건을 이해하고 배우는 것은 미래를 위한 더 나은 사회를 건설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실존인물 모티브

전두환-> 전두광 (황정민) : 국군보안사령관,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본부장

노태우-> 노태건 (박해준) : 제9보병사단장

노재현-> 오국상 (김의성) : 대한민국 국방부 장관

최규하-> 최한규 (정동환) : 대한민국 제10대 대통령

장태완-> 이태신 (정우성) : 육군본부 교육참모부 차장-> 수도경비사령관

정승화-> 정상호 (이성민) : 육군참모총장, 계엄사령관

김진기-> 김준엽 (김성균) : 육군본부 헌병감

 

 

감상평

'하나회'란 전두환과 노태우를 주축으로 하여 군대 안에서육군사관학교출신만 따로 모으게 됩니다.

자신들의 사리사욕을 채우기 위해 만든 조직이며, 박정희대통령의 지지로 이들은 더욱이 힘을 싣게 됩니다. 이렇게 결성된 하나회가 군부대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전체를 뒤흔들게 되는 막강한 힘을 가지게 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영화입니다.

 

영화를 보면서 가장 화가 치밀어 오르는 부분은 여러 번이나 막을 수 있는 기회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답답할 정도로 전두광(전두환)의 뜻대로 모든 게 이루어진다는 것이었습니다.

누구 하나 콕 집어서 잘못했다고 할 수 없을 만큼 여러 사람이 함께 만든 역사입니다.

최규하는 대한민국의 제10대 대통령이지만 전두환의 쿠데타로 8개월이라는 최단 임기를 기록합니다. 또한 허수아비대통령으로 불릴 만큼 힘이 없었습니다. 전두환의 폭주와 비민주적인 행위를 묵인하여 상황을 악화시켰다고 봅니다.

극 중에서 어느정도 희화화된 인물이라고 생각이 든다지만 노재현 국방부장관도 극중에서 자신의 사리사욕만 챙기는 책임감 없는 정치인의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전두환의 폭주를 막을 수 있는 여러 번의 기회가 국방부장관이었던 노재현에 달렸었는데 기대를 저버리고 전두환의 손을 잡아줘서 기억에 남는 인물 중 한 명입니다.

 

일제강점기시대의 친일파와 마찬가지로 군사독재정권 때에도 자신의 이익을 챙기려는 사람들과 그의 후손들만 호의호식하며 잘 살아간다는 게 전반적인 후기인 듯합니다.

정우성 배우님이 연기하셨던 이태신의 모티브였던 장태완의 현실은 참혹했습니다.

그는 서빙고에 붙잡혀 45일간의 조사를 받게 됩니다.

1982년, 외동아들인 장성호는 서울대학교에 입학하여 자연대 수석을 합니다.  장성호는 여느 때와 같이 "아버지, 다녀오겠습니다."하고 대문을 나선 지 1달 만에 칠곡군 왜관읍 산기슭에서 사체로 발견됩니다.

서울의 봄 흥행 이후에장태완의 아내분이 인터뷰하신 영상이 주목을 받게 되어 저도 보게 되었는데, 감정을 한 단어만으로는 표현할 수가 없었습니다. 부끄러움과 안타까움, 한탄, 답답함, 분노 등 복잡 미묘한 감정이 한 번에 떠올랐습니다.

 

 

반응형